소득 200만원 이하 사교육비 11.6만원에 불과
부모 소득 많고, 성적 좋을수록 참여율도 높아
한 달에 800만원을 넘게 버는 가구의 평균 사교육비가 6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월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 가구보다 5배가량 많은 액수입니다.
부모가 많이 벌수록 사교육 참여율이 높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고 성적이 상위 10%인 고등학생의 경우 10명 중 7명 이상이 사교육을 받았고, 약 53만원에 달하는 돈을 썼습니다.
통계청은 11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월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 자녀 10명 중 8명 사교육 받아
가구의 소득수준별 월평균 사교육비를 보면 800만원 이상은 59만3000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2.8%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200만원 미만은 12.8% 증가한 11만6000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2구간의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 격차는 약 5.1배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다른 구간에서도 대부분 증가세를 보였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사교육 시장이 위축됐으나, 백신 접종자 증가 등의 영향으로 반등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구체적으로 700~800만원 미만(48만6000원·10.3%), 600~700만원 미만(44만4000원·19.2%), 500~600만원 미만(38만1000원·17.1%), 400~500만원 미만(33만2000원·23.6%), 300~400만원 미만(25만3000원·24.1%), 200~300만원 미만(18만원·14.1%) 순으로 사교육비가 많았습니다.
부모의 소득이 많을수록 자녀 사교육 참여율도 높았습니다.
800만원 이상 구간이 86.0%로 가장 높았고, 200만원 미만은 46.6%로 가장 낮았다. 이 2구간의 격차는 39.4%포인트(p)로 1년 전에 비해 1%p 감소했습니다.
이외에 700~800만원 미만(84.9%), 600~700만원 미만(83.5%), 500~600만원 미만(80.3%), 400~500만원 미만(77.2%), 300~400만원 미만(70.0%), 200~300만원 미만(57.6%)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300~400만원 미만, 400~500만원 구간의 참여율이 각각 9.1%p, 8.7% 늘어나면서 다른 구간에 비해 큰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안웅환 교육부 교육통계과장은 "대체적으로 이 소득 구간의 경우 초등학생을 둔 가구가 많을 수 있다"며 "2020년의 경우 코로나19 때문에 초등학생 사교육비가 급감했는데 이번에 반등했기 때문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3월 보이스피싱 급증 주의 (0) | 2022.03.14 |
---|---|
정부, 농지 구입 매입자금 지원단가 10% 인상 (0) | 2022.03.14 |
불금 음주운전 416명 적발 면허 취소 272명 (0) | 2022.03.12 |
산불 피해 농업시설 복구 자금 지원 (0) | 2022.03.07 |
아이스크림 가격도 인상 (0) | 2022.03.0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