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액체형 재료를 사용하는 SLA(Setero Lithography Appartus) 방식

3D프린터 교육

by 제이슨짱 2022. 2. 21. 18:00

본문

728x90

위에서 언급한 찰스 훌이 1984년 발명한 기술로, 빛을 받으면 고체로 변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액체 플라스틱)가 들어있는 수조에 레이저 빔을 쏘아서 필요한 부분만 고체화시키는 방식 입니다.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 속도가 빠르고 FDM 방식에 비해  제품 표면이 매끄럽지만  내구성은 떨어 집니다.  현재 시점에서 볼때  SLA방식 프린터는 개인용으로 상당히 부적합합니다.  아직까지 기계나 재료가 비싼것이  큰 장애물입니다. SLA방식은 레진 도포 기술과 스캔 미러  시스템의 제작이 까다롭기 때문에 아직 DIY키트가  충분히 보급되지 않습니다. 레진은 보관이 어려운데다가 악취가  심하고 심지어 유해하기까지 합니다.

 

레진이 담겨있는 수조에 프린트 베드가 잠겨있고그 위에 UV레이저를 조사한다.
레이저가 닿으면 광경화 작용에 의해 레진이굳어지며 레이어가 만들어진다. 레이저의 방향은반사경을 이용한 스캔 시스템으로 조절할수 있다.레이어가 완성되면 베드가 하강하고 레진이 그위에 균등하게 도포될수 있도록 추가 공급된다.

 

파우더형 재료를 사용하는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

SLA와 비슷한 방식인데 파우더형 재료(미세한 플라스틱 분말, 모래, 금속 가루 등)를 사용 합니다. 
파우더가 담겨있는 수조에 레이저를 쏴서 얇은 막(Layer)을 형성하는 원리입니다.   
막이 형성된 뒤에 다시 파우더를 뿌리고, 다시 레이저를 쏘는 과정을 반복해서 물체를 조형 합니다. 
레이저가 아니라  접착제를 사용하는 형태도 있다고 합니다. 프린팅이 끝난 다음에   가루 더미에서 물체를 꺼내는 과정이 재밌습니다. 마치, 모래 더미에서 보물을 발견하는 느낌이랄까요. 속도도 빠르고,  재료도 다양하며, 완제품도 정교하지만 프린터 자체가 고가 에 부피가 크고, 사용을 위해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 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728x90

'3D프린터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FDM 방식의 3D프린터 출력원리  (0) 2022.02.22
3D 프린터의 재료  (0) 2022.02.22
고체형 재료를 사용하는 FDM방식  (0) 2022.02.21
3D 프린팅 Process  (0) 2022.02.21
3D프린터란?  (0) 2022.02.21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