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M방식의 3D 프린터’는 낮은 장비가격과 유지보수 비용, 다양한 소재 여러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 , 오픈 소스 형태로 개발되어 3D 프린팅 기술 대중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지지대(Support)가 필요하고 적층 레이어 두께가 0.1mm이상으로 출력물의 표면이 거칠고 정밀하지 못합니다
보다 나은 퀄리티를 위해 FDM방식 출력물는 후 가공 필수적 필요합니다.
3D 프린터를 사용하시는 분들이거나 한번즘 결과물을 본 분들이라면 잘 아시겠지만 결과물이 우리가 생각했던것 만큼 깔끔하지 않습니다. 이 이유는 한층한층 쌓아가면서 프린터를 출력하는 FDM
방식의 3D 프린터가 주류이며, 가정용 3D프린터는 이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매끈한 출력물을 만들기 위한 3D 프린터 출력물 후가공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3D프린터를 이용해 뽑은 출력물은 서포트와 브림이라는 것이 있을 경우가 많습니다.
브림이란 3D프린터를 이용해 모델링한 작품을 출력할때 프린터 배드와 확실히 밀착이 되도록하게 도와주는 주춧돌같은 것이며, 서포트는 출력물이 이쁘게 뽑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둥입니다.
어쨌든 이 두개는 출력물과 전혀 상관없고 출력물을 잘뽑히게 하기 위해 도와주는 역활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손과 니퍼를 통해 떼어냅니다
서포트와 브림을 제거한 후 사포를 이용해 부드러운 결과물이 나올때까지 사포로 잘 문지르시면
됩니다. 문지를때 주의사항은 디테일하게 출력된 부분까지 한거번에 문질러 없애버리지 말아야 한다는 것인데, 그러기 위해 저같은 경우는 먼저 겉에 아주 얇게 도색을 한 후 사포질을 해 디테일한
부분을 최대한 살리려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확실하게 사포로 안밀린 부분과 밀린 부분이 구분되어 미세하게 사포질이 가능합니다. 사포는 180 -> 300 -> 600 -> 1000 순으로 사포질을 하면 매끈한 후가공이 가능합니다.
사포로 연실히 연마를 하고 색을 입히시고 싶은 분이시라면 색까지 도색한다면 위 사진과 같은 결과물이 완성이 됩니다. 3D프린터를 통해 출력한 출력물을 디테일하게 만들려면 이만큼 3D 프린터 출력을 하는 시간 이상으로 더 오랜 시간동안 후가공을 해야만 합니다. 그래도 좀 더 디테일한 출력물을 가지고 싶다면 꼭 후가공을 해야하는 부분임은 확실합니다
3D 프린터의 후가공 사포의 종류 (0) | 2022.02.28 |
---|---|
3D 프린터 후가공 서포트제거 , 샌딩 (0) | 2022.02.28 |
3D 프린터 오버행각도(Overhang Angle), 출력속도, 리트렉션 (0) | 2022.02.27 |
3D프린터 쉘 두께, 바닥과 천장 (0) | 2022.02.26 |
CURA 레이어 ,Brim과 Raft, 레이어 두께(높이) (0) | 2022.02.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