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행각도
모델의 경사면과 z축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오버행 각도가 클수록 모델의 경사가 크게 기울어졌음을 뜻한다.
입력된 값 이상의 오버행 각도를 가진 돌출부에서만 서포트가 생성된다. 반드시 서포트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서포트가 생성되지 않는다면 이 값을 낮춰본다.
채우는 양(Fill Amount) : 이값을 클수록 서포트가 촘촘하게 생성된다.
Distance X/Y/Z: 서포트와 서포트에 닿는 출력물의 표면 사이 간격을 말한다.
Z축 방향의 간격에 대해서는 최적값을 찾아줄 필요가 있다.
출력속도
좋은 품질의 결과를 얻으려면 느린속도(20~40mm/s_내지는 중간속도
(40~60mm/s)로 출력하는것이 좋다. 6단계별로 다르게 설정할수 있다.
Teavel Speed: 필라멘트를 적층하지않는 상황에서의 이동속도 (보통 50~60mm/s)
Bottom Layer Speed: 바닥즉 첫레이어를 툴력할때의 속도
(보통 20~30mm/s정도가 적당)
Infill Speed : 내부 채움속도를 말한다. 출력시간의 상당부분이 내부채움에 할애되므로
Infill Speed를 높이는것은 출력시간을 크게 단축시킬수 있다.
(보통 0~40mm/s)
Top/Bottom Speed : 모델의 천장과 바닥을 출력할때의 속도
Out/ Inner Shell Speed : 최외곽과 내곽의 쉘을 출력할때의 속도
두 속도는 같게 하는것이 좋다. (25~30mm/s)
리트렉션
리크렉션 : 순간적으로 압출기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필라멘트를 빠르게 뒤로 잡아 당기는 역할
레이어 안에서도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출력할때에는 필라멘트 공급을 중단해야 빈공간을 건너뛸수 있게
때문에 필라멘트가 제어되지 않은채 계속 흘러나와 출력물주변에 실처럼 달라붙은 현상인 스크링이 발생한다.
3D 프린터 후가공 서포트제거 , 샌딩 (0) | 2022.02.28 |
---|---|
3D 프린팅 후가공 (0) | 2022.02.27 |
3D프린터 쉘 두께, 바닥과 천장 (0) | 2022.02.26 |
CURA 레이어 ,Brim과 Raft, 레이어 두께(높이) (0) | 2022.02.26 |
3D 프린터, Cura 한글버전 변환하는 방법 (0) | 2022.02.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