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거리두기·마스크 효과? 코로나 이후 '음주'·'흡연' 줄어

사회소식

by 제이슨짱 2022. 4. 28. 09:04

본문

728x90

코로나19 유행을 전후(2019~2021년)해 만 19세 이상 성인들의 우울감 경험률은 늘어났지만, 2년 1개월간 지속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회식 감소로 월간음주율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흡연율도 감소추세를 보였다.

질병관리청은 27일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활용해 코로나19 유행 전후(2019~2021년)의 주요 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지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019년 24.7%에서 2020년 19.8%로 크게 감소(4.9%포인트)했고, 2021년 다시 소폭 감소(0.1%포인트)해 19.7%로 나타났다. 아침 결식 예방인구 비율은 2019년 53.4%에서 2020년 51.5%로 1.9% 포인트, 2021년 50.0%로 1.5% 포인트 감소했다.


우울감 경험률은 2019년 5.5%에서 2020년 5.7%로 소폭 증가(0.2% 포인트)했다가, 2021년 6.7%까지 증가(1.0% 포인트)했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2019년 25.2%에서 2020년 26.2%로 증가(1.0% 포인트)했고, 2021년에도 같은 수준이 유지됐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30세 이상)은 2019년 8.0%에서 2020년 8.3%로 증가(0.3% 포인트), 2021년 다시 8.8%로 증가(0.5% 포인트)했다. 반면 당뇨병 진단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은 2019년 91.9%에서 2020년 91.5%로 0.4% 포인트 줄었고, 2021년 다시 91.2%로 소폭 감소(0.3%포인트)했다.


개인위생과 비만,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에 개선됐다가, 2021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은 2019년 85.5%에서 2020년 97.6%로 크게 증가(12.1% 포인트)했지만, 2021년에는 94.5%로 3.1%포인트 감소했다. 비누와 손 세정제 사용률도 2019년 81.3%에서 2020년 93.2%로 11.9% 포인트 늘었지만, 2021년에는 89.3%로 3.9% 포인트 줄었다.

비만율(자가보고)은 2018년 31.8%에서 2020년 31.3%로 소폭 감소(0.5% 포인트)했지만, 2021년에는 32.2%로 0.9% 포인트 증가했다. 또 고혈압 진단 경험률(30세 이상)은 2019년 19.4%에서 2020년 19.2%로 소폭 감소(0.2%포인트)했다가, 2021년에는 20.0%로 다시 0.8%포인트 증가했다.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에 악화됐다가, 2021년에 이전전 수준으로 회복 또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난 지표는 걷기실천율과 건강생활 실천율이었다.

걷기실천율은 2019년 40.4%에서 2020년 37.4%로 감소(3.0% 포인트)했지만, 2021년에 다시 40.3%로 2.9% 포인트 증가했다. 건강생활실천율도 2019년 28.4%에서 2020년 26.4%로 감소(2.0% 포인트)했다가, 2021년에는 29.6%로 3.2% 포인트 증가했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