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발(發) 대유행의 정점 시기와 규모가 불투명하네요.
2월 말~3월 초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30만명대까지 발생한 뒤 꺾일 것이란 예측 속에 폭발적인 확산세를 감안하면 그 규모가 더 커지고 유행 기간도 길어질 수 있다는 최악의 전망이 나옵니다.
대상 시설은 ▲유흥시설 등(유흥주점, 단란주점, 클럽(나이트), 감성주점, 헌팅포차, 콜라텍·무도장) ▲식당·카페 ▲노래연습장 ▲목욕장업 ▲실내체육시설 등이다. 그 외 사적모임 최대 6인, 미접종자 식당·카페 '혼밥'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정점을 지나 감소세로 전환할 때까지 보수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봤다. 다만, 9주간 이어진 고강도 방역으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점을 고려해 최소한도로 완화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영업시간 1시간 연장으로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가속화된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지난 18일 0시 기준 일일 신규 확진자는 10만9831명으로 사상 첫 10만명대를 기록했다. 일주일 전인 11일 5만3920명보다 두 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최근 1주 간격으로 유행 규모가 두 배 이상 급증하는 '더블링'이 빈번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인용해 다음 달 초 유행 정점으로 하루에 최대 18만명이 확진되고, 위중증 환자 수가 2500명에 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지난 9일 보고서를 통해 다음 달 초 하루 23만명에서 최대 36만명의 확진자가 쏟아질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가 인용한 분석보다 유행이 더 빨라지고 규모도 더 커지는 셈입니다.
의료대응 체계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유행 속도가 빨라진다면 위기 상황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 교수는 "앞서 정부가 정점이라 언급했던 2말3초의 상황이 조금 더 빨리 찾아올 것입니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환자 폭증이 이어질 것"이라며 "문제는 준비가 미흡한 상황에서 중증 병상뿐만 아니라 다른 병동, 수술에 차질이 빚어지는 상황이 가속화하면서 위기가 더 빠르게 닥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도 "유행 정점에서 발생하는 피해를 감당할 수 있으면 정점을 빠르게 찍고 내려와도 상관없을 것"이라면서도 "우리가 그 피해를 감당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확신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최대한 유행 속도와 규모가 급증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행 규모 급증 시 의료·교통·안전 등 사회필수기능이 마비되지 않도록 '업무지속계획'(BCP) 수립과 실천도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현 유행 상황에 대해서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정부가 메시지를 관리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