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결제 비중이 신용·체크카드의 절반 수준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로나19(COVID-19) 확산 등 비상시에 대비해 예비용 현금을 보유한 가구의 비중은 큰 폭 늘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21년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가구당 월평균 현금지출액은 51만원으로 2018년(64만원)에 비해 13만원(25.4%) 감소했다. 전체 지출액에서 현금이 차지하는 비중도 21.6%로 신용·체크카드(58.3%)의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카드와 계좌이체 등 현금지급수단을 주로 이용하면서 현금 사용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기업의 경우에도 원재료 구입 등을 위한 현금지출 규모가 감소하고 현금지출 비중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최근 1년간 월평균 현금지출액은 912만원으로 2018년(2906만원) 대비 68.5%나 감소했다. 지급수단별 지출액도 현금지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하락해 1.2%에 불과한 반면 계좌이체는 상승세를 보이며 가장 큰 비중(86.0%)을 차지했다.
이 가운데 가계의 예비용 현금은 보유 가구 비중이 크게 확대됐다. 현재 소지한 돈 이외에 비상시 등에 대비하여 집, 사무실 등에 보관하고 있는 예비용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가구의 평균 현금보유액은 35만4000원으로 감소세를 보였으나 보유가구 비중은 31.4%로 2018년(23.3%) 대비 8.1%포인트(p) 상승했다. 현금보유액별로 보면 30만원 미만의 예비용 현금을 보유한 가구의 비중(17.7%)이 큰 폭(9.1%포인트) 상승했다.
기업도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자 일상 운영자금과 함께 비상시에 대비한 현금보유를 확대하는 추세다. 기업의 평균 현금보유액은 470만원으로 2018년(222만원)에 비해 111.4% 급등했다. 운영자금용 현금보유액이 360만원으로 2018년(153만원)에 비해 207만원(135.6%) 증가했고 비상시에 대응하기 위한 예비용 현금(110만원)도 같은 기간 41만원(58.3%) 증가했다.
이를 업종별로 따져보면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927만원), 도소매업(888만원), 제조업(342만원) 등에서 현금 보유를 늘렸다.반면 음식·숙박업(111만원), 운수업(109만원)은 2018년보다 평균 현금보유액이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2021년 9월 27일부터 11월30일까지 진행됐다. 전국 가구의 가구주 1500명, 기업은 종사자수 5인 이상의 기업체 505개, 현금전문취급업체 450개를 대상으로 가구 및 사업체를 방문해 설문지를 활용해 조사했다.
전기료 올리면 물가폭탄 한전 올 적자 30조 (0) | 2022.06.18 |
---|---|
주담대 금리 오늘 또 올라 연내 8% 넘기나 (0) | 2022.06.17 |
30만원 빌렸는데 일주일 뒤 50만원 갚으라고?" 불법 사금융 신고 26% 폭증 (0) | 2022.06.15 |
월소득 553만원 넘는 직장인 7월부터 국민연금 1만3,050원 더 낸다 (0) | 2022.06.14 |
다주택자 매물 쏟아지자, 잠실 4억·흑석 2억 뚝 뚝 (0) | 2022.06.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