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경상수지가 8000만달러(약 1004억8000만원) 적자를 기록했다. 코로나19(COVID-19) 사태가 본격화된 2020년 4월 이후 2년 만의 첫 적자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물류난으로 석유·원자재 등의 가격이 뛰면서 상품수지 흑자가 크게 줄어든 가운데 삼성전자 등 12월 결산법인의 외국인 투자자 배당금 지급이 몰린 탓이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2022년 4월 국제수지(잠정치)'에 따르면 지난 4월 경상수지는 8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2020년 4월(-40억2000만달러) 이후 처음이다. 이로써 2020년 5월 이후 23개월 연속 흑자행진이 멈췄다.
경상수지는 외국과 재화·서비스를 사고파는 경상거래를 집계한 것으로, 상품수지·서비스수지·본원소득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재화의 수출입 차이를 나타내는 상품수지는 그동안 우리 경제를 지탱해온 버팀목이었다.
지난 4월에는 상품수지 흑자폭이 크게 쪼그라들었다. 흑자는 1년 전 49억5000만달러에서 29억5000만달러로 축소됐다. 수출(589억3000만달러)이 석유제품·반도체 등의 호조로 전년동월대비 11.2% 늘었지만, 수입 원자재가격이 급등하면서 수입(559억8000만달러) 증가 폭(16.5%)이 더 컸기 때문이다. 지난 4월 통관 기준 원자재 수입액은 1년 전보다 37.8% 급증했다.
여기에 외국인 주식 투자자에 대한 배당도 경상수지 적자 폭을 키웠다. 임금과 배당, 이자 흐름을 반영한 본원소득수지는 32억5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동월대비 적자폭은 6억7000만달러 축소됐다. 이 중 배당소득수지는 38억2000만달러 적자를 보였다. 매년 4월의 경우 전년도 말 결산법인의 외국인 투자자 배당 지급으로 본원소득수지가 크게 악화되는데 상품수지 규모까지 축소되며 경상수지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다.
운송과 여행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수지는 올해 5억7000만달러 흑자를 보였다. 운송수지가 17억6000만달러의 흑자를 내며 전년 동월 대비 흑자 폭이 11억1000만달러 확대됐다. 수출 화물 운임이 높은 수준을 이어간 때문이다. 4월 선박 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1년 전보다 49.9%나 오르며 운송수지 흑자폭을 늘렸다. 다만 방역조치 완화 등으로 해외여행이 늘며 여행수지는 같은달 5억9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지난 4월 중 17억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7억달러 늘며 2001년 9월 이후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외국인의 국내직접투자도 8000만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72억달러 불었지만,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16억9000만달러 감소했다.
댓글 영역